즐겨찾기 추가
기사제보
서울
16 °C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제주
강릉
강진군
강화
거제
거창
경주시
고산
고창
고창군
고흥
광양시
구미
군산
금산
김해시
남원
남해
대관령
동두천
동해
목포
문경
밀양
백령도
보령
보성군
보은
봉화
부안
부여
북강릉
북창원
북춘천
산청
상주
서귀포
서산
성산
속초
수원
순창군
순천
안동
양산시
양평
여수
영광군
영덕
영월
영주
영천
완도
울릉도
울산
울진
원주
의령군
의성
이천
인제
임실
장수
장흥
전주
정선군
정읍
제천
진도
진도군
진주
창원
천안
철원
청송군
청주
추풍령
춘천
충주
태백
통영
파주
포항
함양군
합천
해남
홍성
홍천
흑산도
모바일웹
독자투고
유머마당
맛집이야기
여행갤러리
동영상
칭찬합시다
행사이벤트
알립니다
자유게시판
대학보도
주요기사
[영화 ‘포레스트 검프’를 보고] 옳음과 친절함 중 하나...
0
44
우리학교 러시아연구소, 한러 수교 35주년·제...
0
39
우리학교, 태국 무에타이 전설 부아카오 초청 ...
0
40
우리학교,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 초청 ...
0
44
2025 아시아위크 성황리에 개최
0
39
기획
주요기사
AI가 번역을 잠식하는 시대, 우리학교 어문 계열의 길을 묻...
0
62
지하복합시설 소음·흡연·안전 문제에 학생들...
0
49
성적 제도 개선의 타협점은 어디? 변화 요구 ...
0
47
난무하는 알림 속, 학생 편의를 위한 학교 알...
0
108
우리학교 식당 운영 축소, 인력난 너머의 구조...
0
155
심층
주요기사
성인 청년인데도 여전히 부모 품에… 캥거루족의 현실과 남...
0
41
청년의 조기 퇴사, “MZ세대라서”가 아니다
0
117
기후 위기 시대, 대학이 바꾸는 캠퍼스의 풍경
0
118
선을 넘은 계절학기 수강료... 등골 휘는 대학...
0
322
청년 금융이해력 부족, 실질적 금융 교육이 필...
0
372
국제
주요기사
인도네시아: <발리의 춤> - 발리의 무희들, 계급의 ...
0
40
도쿄에서 청춘의 한 장을 기록하다
0
49
러시아: <예술이란 무엇인가> - 예술은 ...
0
84
정과 환대가 충만했던 따뜻함의 불가리아
0
115
헝가리: <장미 박람회> - 삶과 죽음이 ...
0
122
사회
주요기사
무분별한 방생, 생태계를 뒤흔들다
0
48
우리나라 언론의 양극화 심화... 갈등 키우는 ...
0
44
탈출구 없는 안전망,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
0
142
민생회복 소비쿠폰, 활력인가 부담인가
0
152
무인점포의 양면성, 편리성과 위험성
0
342
학술
주요기사
디지털 플랫폼 경제와 노동의 미래, 전통적 고용계약을 넘...
0
132
노사 갈등, ‘노란봉투법’이 해법 될까... 남...
0
128
미사일 충돌과 긴장 고조, 인도-파키스탄 관계...
0
265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기술과 저작권 문제
0
351
한중 잠정조치수역, 평화의 공간인가 분쟁의 ...
0
378
사설ㆍ칼럼
주요기사
[책 ‘H 마트에서 울다’를 읽고] H 마트에서 배운 사랑...
0
46
여름의 끝자락 가을의 문턱
0
44
당위는 능력을 함축한다
0
44
우리가 서로를 미워해선 안 되는 이유
0
90
[영화 ‘원더’를 보고] 옳음과 친절함 중 하...
0
107
인물
주요기사
현장을 뛰는 기자정신 장선이 기자를 만나다
0
43
시와 번역으로 삶을 풀어내는 정은귀 교수를 만...
0
106
코트 밖 3점슛 원석연 기자를 만나다
0
327
우리나라 인디 록의 전설 델리스파이스의 윤준...
0
406
역사의 숨결을 소설로 담는 김진명 작가를 만나...
0
361
열린공간
주요기사
글과 함께 자라온 아이가
0
50
모두를 위한 글
0
124
시의성과 설득력
0
153
완벽을 쫓는 성장한 나
0
310
사람이 쓴 글의 가치
0
385
뉴스홈
>
뉴스검색
뉴스검색
섹션선택
--- 선택 ---
뉴스
플러스
--- 선택 ---
--- 선택 ---
검색범위
~
검색단어
전체검색
뉴스제목
부제목
뉴스본문
기자이름
통합검색
일반뉴스
포토뉴스
동영상뉴스
UCC뉴스
전체뉴스
OR
AND
AND : 입력한 검색단어 모두를 포함시켜 검색 / OR : 입력한 검색단어 중 포함된 단어 검색
일반뉴스 검색결과
[영화 ‘포레스트 검프’를 보고] 옳음과 친절...
[대학보도]
2025-10-01 14:55:00
이나경 기자
동네 사람들에게 ‘바보’라 불리는 한 남자가 있다. 그의 이름은 포레스트 검프(Forrest Gump). 어린 시절 다리에 보조기를 차야 할 만큼 신체적 불편함을 안고 있었지만 이를 장애물로 여기지 않고 누구보다 힘차게 달리며 자신의 길을 개척한다. “난 가고 싶은 곳에 가기 위해 뛰었는데 그게 삶의 기회가 될 줄은 몰랐어요.”라는 대사는 그가 인생을 살아가는 방식을 조명한다. 포레스트에게 달리기는 삶의 기회를 마주하는 태도이다. 그는 순간순간 주어진 상황에 최...
우리나라 언론의 양극화 심화... 갈등 키우는 보...
[사회]
2025-10-01 14:45:00
이나경 기자
유튜브(Youtube)와 사회관계망서비스(이하 SNS) 등에서 누구나 쉽게 제작하고 대량으로 쏟아낼 수 있는 ‘양산형 콘텐츠’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들 매체는 조회수와 자극적 보도에 치중하며 우리나라 언론을 편향과 깊은 분열의 늪으로 몰아넣고 있다. 정치적 성향에 따라 동일 사건이 다른 관점으로 보도되며 국민은 혼란을 겪고 있고 사회 전반의 갈등과 정치적 양극화 역시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뉴미디어(New Media)△방송△신문의 사례를 통해 △언론의...
[영화 ‘원더’를 보고] 옳음과 친절함 중 하나...
[사설.칼럼]
2025-09-18 00:10:24
이나경 기자
영화 ‘원더’는 얼굴에 선천적 기형을 가진 소년 어기 풀먼(Auggie Pullman)이 처음으로 일반 학교에 들어가며 겪는 이야기를 그린다. 낯선 환경 속에서 어기는 친구들의 따가운 시선과 편견에 부딪히지만 조금씩 마음을 나누고 우정을 쌓으며 변화를 만든다. 영화는 어기뿐 아니라 그의 가족과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아내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피어난 따뜻한 변화를 전한다.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다름’을 대하는 시선이 달라지는 과정이었다. 처음엔 두려움...
우리학교 모의국제연합(HIMUN), 제49차 모의유엔...
[대학보도]
2025-09-17 23:36:18
이나경 기자
우리학교 모의국제연합(HUFS International Model United Nations, 이하 HIMUN)은 지난달 23일 오후 1시 서울특별시 강남구 섬유센터 텍스파홀(Tex+Fa Hall)에서 제49차 모의유엔총회를 개최했다. 이번 총회의 의제는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 달성 가속화를 위한 과학기술 활용과 다자협력 방안 모색’이었다. HIMUN은 지난 1958년 ‘유엔군축’을 주제로 시작된 국내 최초의 모의국제연합이자 외국어 학술 행사다. 이번 해 67년 전...
우리학교 TESOL대학원, 미국 국무부 ‘English L...
[대학보도]
2025-09-17 23:32:31
이나경 기자
우리학교 TESOL대학원이 미국 국무부 주관 ‘English Language Fellow Program’의 국내 협력기관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우리학교는 조지타운대학교(Georgetown University) 및 주한미국대사관과 함께 해당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English Language Fellow Program’은 지난 50여 년간 80여 개국에 영어교육 전문가를 파견해 현지 교육 역량 강화를 지원해온 미국 국무부의 대표적 국제 교육 협력 프로그램이다. 운영과 후보자 선발은 조지타운대학교 산하 국제교육개발...
윤윤수 미스토홀딩스 회장, 우리학교 발전기금 ...
[대학보도]
2025-09-17 23:30:00
이나경 기자
윤윤수(사회정외 66) 미스토홀딩스(Misto Holdings) 회장(이하 윤 회장)이 모교 발전과 후학 양성을 위해 발전기금 10억 원을 기부했다. 지난달 22일 서울캠퍼스(이하 설캠)에서 진행된 후기 학위수여식에서 윤 회장은 특별 축사 후 발전기금 기부 서명식을 진행했다. 이번 기부금은 ‘윤윤수 AI 석좌교수 기금’으로 조성돼 향후 우리학교 인공지능 분야 교육 및 연구 기반을 강화하고 미래 인재 양성과 학문적 성과 창출에 활용될 예정이다. 박정운 우리학교 총장은 “모...
[영화 ‘노트북’을 보고] 사랑이 끝난 곳에서...
[사설.칼럼]
2025-09-03 16:50:00
이나경 기자
1940년대 여름 시골 마을에 내려온 부잣집 아가씨 앨리(Allie)와 자유분방한 청년 노아(Noah)는 운명처럼 만나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신분과 가정환경의 차이는 두 사람을 갈라놓았고 결국 첫사랑은 가슴 아픈 이별로 끝난다. 시간이 흘러 각자의 길을 걷던 그들은 우연히 다시 재회하여 여전히 뜨겁게 서로를 사랑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그러나 앨리에겐 이미 결혼을 약속한 약혼자가 있어 갈등은 깊어지고 그녀는 결국 평생의 사랑과 안정된 미래 사이에서 인생의 가장 ...
기후 위기 시대, 대학이 바꾸는 캠퍼스의 풍경
[심층]
2025-09-03 16:45:00
이나경 기자
기후 위기와 지속가능성은 더 이상 먼 미래의 문제가 아니다. 국내 대학들은 ‘그린 캠퍼스(Green Campus)’ 정책을 통해 친환경 기반 시설을 구축하고 에너지 절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학생들의 환경 문제 해결 의지와 참여가 높아지며 대학은 단순 교육 기관을 넘어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핵심 주체로 주목받고 있다. △대학 내 친환경 정책과 실천 현황△지속가능사회에서의 대학의 역할과 도전 과제△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자. ◆대학 내 친환경 정책과 실...
[책 ‘동네 병원 인문학’을 읽고] 일상의 진...
[사설.칼럼]
2025-06-04 15:40:00
이나경 기자
병원은 대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공간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동네 병원 인문학’은 이 일상적인 장소가 단지 병을 고치는 곳을 넘어 인간의 삶과 죽음을 오롯이 마주하는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0년 넘게 동네 병원을 운영해온 내과 전문의 이여민 저자는 진료실에서 만난 수많은 환자의 이야기를 통해 병과 인간 그리고 의학과 인문학 사이의 경계를 부드럽게 넘나든다. 그는 병을 단순히 고쳐야 할 결함이 아닌 인간 존재의 일부로 받아들이며 그 속에서...
외부인 출입 자유로운 학생 식당, 이대로 괜찮을...
[기획]
2025-06-04 15:25:00
이나경 기자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학생 식당은 타 대학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비교적 우수한 품질로 ‘학식 맛집’으로 불리며 외부인의 발길 또한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점심시간마다 긴 대기 줄과 좌석 부족 등의 문제가 반복되며 학생들의 식사권 침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16년 외부인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도입한 학생증 확인 제도는 외부인 반발로 한 학기 만에 폐지된 바 있어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균형 있는 해결책이 요구되는 시점이...
도서관 이용 환경, 개선 시도 속 남은 과제
[기획]
2025-06-04 13:30:00
이나경 기자
지난 1079호에선 우리학교 도서관 공간 부족 문제에 대해 다뤘다. 이후 도서관 측은 열람실 사석화 해소 및 휴게공간 개선 등 다양한 대응책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학생들이 체감하는 변화는 여전히 부족하단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도서관 공간 개선 현황△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자. ◆도서관 공간 개선 현황지난 1079호 보도 이후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도서관 측은 공간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개선 조치를 추진해 왔다. 우선 열람실 좌석 사석...
[책 ‘무너진 세계에서 꿈꾸기’을 읽고] 말의...
[사설.칼럼]
2025-05-21 23:20:00
이나경 기자
‘무너진 세계에서 꿈꾸기’는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가 얼마나 쉽게 균열되고 무너질 수 있는지 알려준다. 저자는 △나치 체제의 가해자△침묵했던 다수의 시민△홀로코스트(Holocaust)* 생존자 등 다양한 인간 군상을 통해 전체주의가 어떻게 일상을 잠식하고 결국 사회 전체를 파괴하는지 입체적으로 보여주지만 단순히 과거의 비극을 되풀이하는 데 그치진 않는다. 오히려 “어떻게 인간은 인간에게 그런 일을 저지를 수 있었는가?” 그리고 “내가 그 시대 그 자리에 있...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기술과 저작권 문제
[학술]
2025-05-21 23:15:00
이나경 기자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으로 이미지 생성 도구가 대중화되며 특정 작가의 화풍이나 예술 양식을 모방한 인공지능 이미지(Image)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지브리 스타일(Ghibli style)’로 재구성된 이미지들이 저작권 침해 논란을 일으키며 창작과 모방의 경계가 점점 흐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귀속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며 관련 법적 논의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기술이 기존 저작권 체계에 던지는...
사람이 쓴 글의 가치
[열린공간]
2025-05-21 23:15:00
이나경 기자
“이거 그냥 어차피 챗지피티(Chat GPT)에 물어보면 되잖아?” 친구가 툭 던진 말은 농담 같았지만 마음에 꽤 오래 남았다. 요즘은 과제 주제가 주어지면 가장 먼저 챗지피티에 입력한다. 요점 정리는 기본이고 논리적인 글쓰기와 보고서 초안까지 척척 만들어낸다. 처음엔 신기해서 썼고 이내 익숙해졌고 지금은 당연해졌다. ‘고뇌하며 쓰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정말 도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 신문도 예전 같지 않다. 종이신문이 점점 줄고 나 포함 학보 기자들...
[책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고] 성장 속에 ...
[사설.칼럼]
2025-05-07 19:00:00
이나경 기자
‘호밀밭의 파수꾼’은 16살 소년 홀든 콜필드(Holden Caulfield)가 퇴학을 당한 뒤 며칠 동안 뉴욕을 떠돌며 겪는 방황을 그린 작품이다. △가족△사회△학교에 환멸을 품은 홀든은 어른들의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고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채 외로운 떠돌이 생활을 이어간다. 사람들과의 맹목적인 만남은 오히려 그의 고립감을 더욱 깊게 만들고 그는 세상 속에서 지켜야 할 순수한 무언가를 간절히 찾아 헤매기 시작한다. 홀든은 여동생 피비(Phoebe)와의 대화에서 자신이...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