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추가
기사제보
서울
16 °C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제주
강릉
강진군
강화
거제
거창
경주시
고산
고창
고창군
고흥
광양시
구미
군산
금산
김해시
남원
남해
대관령
동두천
동해
목포
문경
밀양
백령도
보령
보성군
보은
봉화
부안
부여
북강릉
북창원
북춘천
산청
상주
서귀포
서산
성산
속초
수원
순창군
순천
안동
양산시
양평
여수
영광군
영덕
영월
영주
영천
완도
울릉도
울산
울진
원주
의령군
의성
이천
인제
임실
장수
장흥
전주
정선군
정읍
제천
진도
진도군
진주
창원
천안
철원
청송군
청주
추풍령
춘천
충주
태백
통영
파주
포항
함양군
합천
해남
홍성
홍천
흑산도
모바일웹
독자투고
유머마당
맛집이야기
여행갤러리
동영상
칭찬합시다
행사이벤트
알립니다
자유게시판
대학보도
주요기사
[영화 ‘포레스트 검프’를 보고] 옳음과 친절함 중 하나...
0
115
우리학교 러시아연구소, 한러 수교 35주년·제...
0
90
우리학교, 태국 무에타이 전설 부아카오 초청 ...
0
110
우리학교,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 초청 ...
0
105
2025 아시아위크 성황리에 개최
0
94
기획
주요기사
AI가 번역을 잠식하는 시대, 우리학교 어문 계열의 길을 묻...
0
145
지하복합시설 소음·흡연·안전 문제에 학생들...
0
125
성적 제도 개선의 타협점은 어디? 변화 요구 ...
0
104
난무하는 알림 속, 학생 편의를 위한 학교 알...
0
169
우리학교 식당 운영 축소, 인력난 너머의 구조...
0
201
심층
주요기사
성인 청년인데도 여전히 부모 품에… 캥거루족의 현실과 남...
0
103
청년의 조기 퇴사, “MZ세대라서”가 아니다
0
229
기후 위기 시대, 대학이 바꾸는 캠퍼스의 풍경
0
157
선을 넘은 계절학기 수강료... 등골 휘는 대학...
0
383
청년 금융이해력 부족, 실질적 금융 교육이 필...
0
419
국제
주요기사
인도네시아: <발리의 춤> - 발리의 무희들, 계급의 ...
0
89
도쿄에서 청춘의 한 장을 기록하다
0
114
러시아: <예술이란 무엇인가> - 예술은 ...
0
133
정과 환대가 충만했던 따뜻함의 불가리아
0
160
헝가리: <장미 박람회> - 삶과 죽음이 ...
0
159
사회
주요기사
무분별한 방생, 생태계를 뒤흔들다
0
124
우리나라 언론의 양극화 심화... 갈등 키우는 ...
0
133
탈출구 없는 안전망,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
0
197
민생회복 소비쿠폰, 활력인가 부담인가
0
198
무인점포의 양면성, 편리성과 위험성
0
379
학술
주요기사
디지털 플랫폼 경제와 노동의 미래, 전통적 고용계약을 넘...
0
200
노사 갈등, ‘노란봉투법’이 해법 될까... 남...
0
167
미사일 충돌과 긴장 고조, 인도-파키스탄 관계...
0
303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기술과 저작권 문제
0
418
한중 잠정조치수역, 평화의 공간인가 분쟁의 ...
0
422
사설ㆍ칼럼
주요기사
[책 ‘H 마트에서 울다’를 읽고] H 마트에서 배운 사랑...
0
102
여름의 끝자락 가을의 문턱
0
102
당위는 능력을 함축한다
0
115
우리가 서로를 미워해선 안 되는 이유
0
142
[영화 ‘원더’를 보고] 옳음과 친절함 중 하...
0
161
인물
주요기사
현장을 뛰는 기자정신 장선이 기자를 만나다
0
107
시와 번역으로 삶을 풀어내는 정은귀 교수를 만...
0
181
코트 밖 3점슛 원석연 기자를 만나다
0
374
우리나라 인디 록의 전설 델리스파이스의 윤준...
0
450
역사의 숨결을 소설로 담는 김진명 작가를 만나...
0
395
열린공간
주요기사
글과 함께 자라온 아이가
0
105
모두를 위한 글
0
167
시의성과 설득력
0
232
완벽을 쫓는 성장한 나
0
360
사람이 쓴 글의 가치
0
429
뉴스홈
>
뉴스검색
뉴스검색
섹션선택
--- 선택 ---
뉴스
플러스
--- 선택 ---
--- 선택 ---
검색범위
~
검색단어
전체검색
뉴스제목
부제목
뉴스본문
기자이름
통합검색
일반뉴스
포토뉴스
동영상뉴스
UCC뉴스
전체뉴스
OR
AND
AND : 입력한 검색단어 모두를 포함시켜 검색 / OR : 입력한 검색단어 중 포함된 단어 검색
전체뉴스 검색결과
정과 환대가 충만했던 따뜻함의 불가리아
[국제]
2025-09-17 23:53:55
--- 기자
지난 7월 9일부터 8월 5일까지 약 한 달간 불가리아(Bulgaria)에 다녀왔다. 불가리아에 첫 발을 들인 후 약 일주일은 수도인 소피아(София)에 혼자 여행을 갔고 그 이후엔 벨리코 터르노보(Велико Търново) 지역의 벨리코 터르노보-성 키릴과 메토디 대학교(Великотърновския университет “Св. св. Кирил и Методий”)의 여름 세미나(Seminar)에 참여했다. 처음 공고를 봤을 땐 고민을 많이 했다. 불가리아...
난무하는 알림 속, 학생 편의를 위한 학교 알림...
[기획]
2025-09-17 23:51:49
백채린 기자
우리학교는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문자△이메일(이하 메일)△카카오톡(KakaoTalk, 이하 카톡)△학교 전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을 통해 학교와 관련된 각종 알림을 전달한다. 그러나 학교 알림 전달 체계가 학생들의 실제 요구와는 맞지 않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지속적인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학교 알림 시스템 운영 현황△학교 알림 시스템의 문제점△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자. ◆학교 알림 시스템 운영 현황 우리학교는 자체 개발한 앱을 ...
우리학교 식당 운영 축소, 인력난 너머의 구조를...
[기획]
2025-09-17 23:49:09
윤고은 기자
지난달 25일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총괄지원팀은 조리원 인력 수급의 어려움을 이유로 2학기부터 교수회관 석식 운영과 인문과학관 식당의 김밥 메뉴 배식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이는 당장 저녁 식사를 교내에서 해결해야 하는 기숙사생 및 도서관 이용 학우들의 불편을 가중시키고 경제적 부담을 높이는 등 학생 복지와 직결되는 중대한 사안이다. △우리학교 식당 운영 축소의 현황△우리학교 식당 인력난의 원인△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자. ◆우리학교 ...
우리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의 문제, 보다 실질적...
[기획]
2025-09-17 23:44:16
임재언 기자
지난 1102호 기획기사에선 우리학교 소프트웨어(Software) 교육의 지원이 지닌 부족함을 지적하는 기사를 다뤘다. 반면 우리학교의 소프트웨어 교육은 교육 체계에서의 큰 허점을 가지고 있어 실질적인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본 기사를 통해 △우리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의 허점△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의 문제현재 우리학교 학생들은 교양 필수 과목으로 ‘컴퓨팅 사고’ 또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중 하나를 선...
우리학교 외대학보, 외신 기자들과 오찬 간담회...
[대학보도]
2025-09-17 23:40:29
현재우 기자
지난 15일 우리학교 외대학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함께 ‘한국의 사회문화적 이슈에 대한 청년층의 생각과 대학 학보의 현재’를 주제로 오찬 간담회를 진행했다. 해당 간담회에는 외대학보 측 인원으로 △이승원 편집장(108기, 이하 이 편집장)△김민서 부장기자(109기)△윤고은 차장기자(110기)△송주원 기자(111기)△남우현 선임기자(107기)가 참석했다. 외신 기자 측 인원으론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National Public Radio) 백악관 특파원으로 활동 중인 디파 시바...
이문동 대규모 아파트단지 개발, 반갑지만은 않...
[기획]
2025-09-17 23:40:00
임재언 기자
최근 서울특별시(이하 서울시)의 이문휘경뉴타운 재개발 사업으로 인해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주변에 여러 대단지가 형성되고 있다. 지난 1월 입주를 시작한 ‘래미안 라그란데’ 아파트는 지금까지 3069세대가 새로 입주했다. 이에 따라 외대앞역 상권 및 유동인구가 급증해 교통체증으로 학생들이 등하교 시간마다 큰 혼잡을 겪고 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오는 11월 4169세대가 입주할 예정인 ‘아이파크 자이’의 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이문동 대규모 ...
우리학교 장 모네 EU센터, 유럽연합(EU) 공공외...
[대학보도]
2025-09-17 23:39:24
박서현 기자
우리학교 장 모네(Jean Monnet) EU센터가 유럽연합(EU)의 공공외교 사업인 ‘EU센터(Jean Monnet Centre of Excellence)’ 5단계 사업(장 모네 센터 4기)에 선정됐다. 사업 기간은 이번 해 12월부터 오는 2028년 11월까지 총 3년이다. 이번 선정은 우리학교 장 모네 EU센터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산하 교육 및 문화 집행기관(EACEA)에 제출한 제안서 ‘EU紈orea Relations at a Crossroads’가 채택되며 확정됐다. 이를 통해 우리학교는 유럽 연구의 국내아시아태평양 거점...
우리학교 모의국제연합(HIMUN), 제49차 모의유엔...
[대학보도]
2025-09-17 23:36:18
이나경 기자
우리학교 모의국제연합(HUFS International Model United Nations, 이하 HIMUN)은 지난달 23일 오후 1시 서울특별시 강남구 섬유센터 텍스파홀(Tex+Fa Hall)에서 제49차 모의유엔총회를 개최했다. 이번 총회의 의제는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 달성 가속화를 위한 과학기술 활용과 다자협력 방안 모색’이었다. HIMUN은 지난 1958년 ‘유엔군축’을 주제로 시작된 국내 최초의 모의국제연합이자 외국어 학술 행사다. 이번 해 67년 전...
우리학교 컴퓨터공학부 전병환·장익범 교수 연...
[대학보도]
2025-09-17 23:34:24
박서현 기자
우리학교 컴퓨터공학부가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헬스분야 연구개발사업에 선정된 ‘적응형 인공지능 알고리즘(Algorithm) 기반의 피부 진단 및 고주파초음파 융복합 피부 치료기기 상용화’ 과제에 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해당 사업은 산업부 산하 전문기관인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관리△기획△평가를 담당한다. 해당 과제는 ㈜메디코슨(Medicoson)이 주관하며 우리학교를 포함해 △(재)원주의료기기산업진흥원△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
우리학교 TESOL대학원, 미국 국무부 ‘English L...
[대학보도]
2025-09-17 23:32:31
이나경 기자
우리학교 TESOL대학원이 미국 국무부 주관 ‘English Language Fellow Program’의 국내 협력기관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우리학교는 조지타운대학교(Georgetown University) 및 주한미국대사관과 함께 해당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English Language Fellow Program’은 지난 50여 년간 80여 개국에 영어교육 전문가를 파견해 현지 교육 역량 강화를 지원해온 미국 국무부의 대표적 국제 교육 협력 프로그램이다. 운영과 후보자 선발은 조지타운대학교 산하 국제교육개발...
윤윤수 미스토홀딩스 회장, 우리학교 발전기금 ...
[대학보도]
2025-09-17 23:30:00
이나경 기자
윤윤수(사회정외 66) 미스토홀딩스(Misto Holdings) 회장(이하 윤 회장)이 모교 발전과 후학 양성을 위해 발전기금 10억 원을 기부했다. 지난달 22일 서울캠퍼스(이하 설캠)에서 진행된 후기 학위수여식에서 윤 회장은 특별 축사 후 발전기금 기부 서명식을 진행했다. 이번 기부금은 ‘윤윤수 AI 석좌교수 기금’으로 조성돼 향후 우리학교 인공지능 분야 교육 및 연구 기반을 강화하고 미래 인재 양성과 학문적 성과 창출에 활용될 예정이다. 박정운 우리학교 총장은 “모...
노사 갈등, ‘노란봉투법’이 해법 될까... 남...
[학술]
2025-09-03 17:00:00
윤고은 기자
지난 달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조 개정안(이하 노란봉투법)’이 우리 사회에 큰 파장을 던지고 있다. 노란봉투법을 두고 노동계는 헌법상 노동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입법이라며 환영하는 반면 경영계는 불법 파업 조장과 산업 생태계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관련 효과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노란봉투법의 법적 쟁점들과 앞으로의 사회적 과제를 우리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이정 교수와 알아보자. Q1. 노란봉투법의...
외대학보가 전하는 개강의 소리
[사설.칼럼]
2025-09-03 16:55:00
김민서 기자
여름 내내 우리를 괴롭히던 무더위가 한풀 꺾이고 개강이 찾아왔다. 이번 학기 좋은 기사를 작성하기 위해 방학 내내 교육에 열심히 참여해주신 111기 신입기자들에게 고맙고 든든한 마음이 드는 한편 이분들을 보며 어느새 일 년 전이 돼버린 내 수습기자 시절도 떠오른다. 외대학보 기사 형식에 적응하고 새로운 기사 주제를 찾기 위해 허덕였던 수습기자 때의 방중교육이 엊그제 같다. 그러나 개강호인 1106호 마감에선 부장기자로서 정기자 및 차장기자들이 열심히 작성...
타인에겐 존중을 본인에겐 겸손을
[사설.칼럼]
2025-09-03 16:55:00
이승원 기자
겸손과 존중. 둘 다 절제의 미덕으로부터 발현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이를 실천하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겸손은 기본적으로 자신을 숨김으로써 오히려 자신을 드러낸단 역설적인 개념이다. 그러나 자신을 숨긴다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 생각해보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우월함을 과시하는 것을 좋아한다. 단지 그 수단과 빈도의 차이일 뿐 우린 은연중에 우리가 가진 우월함을 주변에 보여주며 살아간다.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조금이라도...
시의성과 설득력
[열린공간]
2025-09-03 16:50:00
박서현 기자
시의성은 당시의 사정과 사회의 요구에 맞는가를 뜻하는 단어로 방중교육에서 나는 ‘시의성을 갖춘 기사’를 거듭 강조해 배웠다. 그땐 시의성이 뉴스의 당연한 덕목이라 여겼지만 기사를 쓰면서 시의성은 종종 나에게 족쇄로 작용했다. 첫 기사로 기후변화에 대해 다루고 싶었으나 시의성과 거리가 멀었다. 기후변화에 대해 다룬다 하더라도 칼럼(Column)이 아니라 기사로서 다루는 것이 어려웠다. 기사로 풀어내려면 새로운 정보가 필요했다. 그 지점에서 시의성이 보도...
[책 ‘여행의 이유’를 읽고] 여행, 나를 잊기...
[사설.칼럼]
2025-09-03 16:50:00
윤고은 기자
여름 방학이 끝나고 학교에 다시 활기가 돌기 시작했다. 방학 중엔 어디론가 훌쩍 여행을 다녀온 학우들도 있을 것이다. 여행은 왜 우리를 설레게 할까? 김영하 작가의 산문집 <여행의 이유>는 그 질문에 대한 깊은 사유를 담고 있다. 작가는 먼저 ‘여행(travel)’이라는 단어의 어원부터 짚어본다. 놀랍게도 이 단어는 △고역△고통△노동을 의미하는 고대 프랑스어 ‘travail’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과거의 여행은 삶의 터전을 잃거나 공동체에서 추방당한 이들의...
[영화 ‘노트북’을 보고] 사랑이 끝난 곳에서...
[사설.칼럼]
2025-09-03 16:50:00
이나경 기자
1940년대 여름 시골 마을에 내려온 부잣집 아가씨 앨리(Allie)와 자유분방한 청년 노아(Noah)는 운명처럼 만나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신분과 가정환경의 차이는 두 사람을 갈라놓았고 결국 첫사랑은 가슴 아픈 이별로 끝난다. 시간이 흘러 각자의 길을 걷던 그들은 우연히 다시 재회하여 여전히 뜨겁게 서로를 사랑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그러나 앨리에겐 이미 결혼을 약속한 약혼자가 있어 갈등은 깊어지고 그녀는 결국 평생의 사랑과 안정된 미래 사이에서 인생의 가장 ...
기후 위기 시대, 대학이 바꾸는 캠퍼스의 풍경
[심층]
2025-09-03 16:45:00
이나경 기자
기후 위기와 지속가능성은 더 이상 먼 미래의 문제가 아니다. 국내 대학들은 ‘그린 캠퍼스(Green Campus)’ 정책을 통해 친환경 기반 시설을 구축하고 에너지 절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학생들의 환경 문제 해결 의지와 참여가 높아지며 대학은 단순 교육 기관을 넘어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핵심 주체로 주목받고 있다. △대학 내 친환경 정책과 실천 현황△지속가능사회에서의 대학의 역할과 도전 과제△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자. ◆대학 내 친환경 정책과 실...
민생회복 소비쿠폰, 활력인가 부담인가
[사회]
2025-09-03 16:45:00
백채린 기자
지난 7월 21일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선불카드△신용 및 체크카드△지역사랑상품권(이하 지역화폐)을 통해 지원금을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소비쿠폰) 정책을 시행했다. 소비쿠폰 정책은 침체된 경제 회복을 목적으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해 소득 수준에 따라 생활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정책이다. 다만 이와 관련해 긍정적 평가와 비판적 시각이 함께 나타나고 있으며 전문가들의 의견 역시 엇갈리고 있다. △소비쿠폰에 대한 긍정적 반응△소비쿠폰의...
헝가리: <장미 박람회> - 삶과 죽음이 공...
[국제]
2025-09-03 16:40:00
송주원 기자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을 방영하는 다큐멘터리(Documentary). 헝가리(Hungary)의 한 신입 프로듀서(Producer) 아론(ron)의 패기에서 시작된 이 기획은 ‘장미 박람회’라는 다소 엉뚱한 제목으로 시작한다. 이 책의 제목이자 책 내 다큐멘터리 제목인 ‘장미 박람회’는 외르케니 이슈트반(Istvny)이 시도한 독특한 작품이다. 어떤 △녹음본△삽입곡△연출 등이 쓰였는지 상세히 서술돼 있어 마치 실제 감독의 촬영 기록을 읽고 있는 듯하다. 또한 다큐멘터리에 이 제목을 붙...
같은 이름의 두 집 살림, 이원화캠퍼스 전환 정...
[기획]
2025-09-03 16:40:00
남우현 기자
지난 4월과 5월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총학생회(이하 총학) 중앙운영위원회는 과거 글로벌캠퍼스(이하 글캠) 소속 유사 중복학과 통폐합(이하 통폐합)에 따른 교원 및 학생의 설캠 수용에 관해 학교와 논의한 바 있다. 지난 2022년부터 추진된 일련의 통폐합 추진의 목적은 분교였던 글캠이 실질적인 ‘이원화캠퍼스’가 되도록 하겠단 목표의식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우리학교가 실질적인 이원화캠퍼스인지에 대한 학내외의 인식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그렇...
기숙사 공유 공간, 과연 ‘함께’ 쓰는 공간 맞...
[기획]
2025-09-03 16:35:00
이해봄 기자
우리학교 글로벌캠퍼스(이하 글캠) 기숙사 훕스돔(HUFS Dorm)은 다양한 국적과 학과 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는 소중한 보금자리다. 또한 △비교적 저렴한 비용△통학의 편리성△편리한 생활 환경 덕분에 많은 학생들이 선호한다. 그러나 실제 생활 속에선 △라운지(Lounge)△세탁실△열람실△휴게실 공간 등 기숙사 내 공유 시설 관리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며 학생들의 생활 만족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숙사는 단순한 거주 공간을 넘어 고향을 떠나온 학생...
중국 교환학생, 두려움에서 성장으로
[국제]
2025-09-03 16:35:00
--- 기자
나는 스스로 중국어 실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곤 했다. 전공어임에도 능숙하지 못한 스스로가 부끄러웠고 이를 극복하는 동시에 내가 배운 중국과 실제 중국의 차이를 알고자 우리학교 교환 학생 프로그램을 신청했다. 나는 중국 산동대학교(山东大学 이하 산동대)로 가게 됐다. 막상 교환 신청을 하니 설렘과 두려움이 공존했다. 나 혼자 어디론가 떠나는 것은 인생에 있어 처음이었고 아무 정보도 없는 곳이어서 너무 걱정됐다. 이런 마음은 교환을 철회할지 고민하게 만들...
우리학교 국제학사 휴게실, ‘쓰이는 공간’이 ...
[기획]
2025-09-03 16:30:00
이채연 기자
지난 1090호 준기획 기사에선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국제학사(이하 국학) 휴게실 관리 현황과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방안에 대해 다뤘다. 서울캠퍼스 총학생회(이하 설캠 총학)는 우리학교 학생을 위해 단순한 ‘쉼터’를 넘어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고 학업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공간으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국학 휴게실은 △공간 협소△낮은 인지도△제한된 편의시설 등 여전히 여러 과제와 맞닥뜨려 있다. △국제학사 휴게실 현황△나아가야 할 방...
재외동포협력센터가 주최하고 우리학교가 주관...
[대학보도]
2025-09-03 16:25:00
임재언 기자
우리학교는 지난달 1일부터 8일까지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재외동포청 산하 재외동포협력센터가 주최하는 ‘2025 차세대동포 한국어 집중 캠프’를 진행했다. 차세대 동포 한국어 집중 캠프는 외교부 산하 사업으로 이번해 우리학교가 주관학교로 선정됐다. 이번 캠프는 일본에 거주하는 재일동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수준별 한국어 교육과 함께 한국의 역사 및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정체성 확립과 세계시민 의식 함양을 목표로 ...
매크로로 얼룩진 수강신청...피해 구제는 한계
[기획]
2025-09-03 16:25:00
이채연 기자
지난달 4일 우리학교 4학년 수강신청에서 시스템(System) 및 홈페이지(Homepage) 접속 오류로 약 450명의 학생이 피해를 입는 사태가 발생했다. 우리학교 서울캠퍼스 총학생회 (이하 설캠 총학)은 악성 매크로(Macro) 사용으로 인해 수강신청 진행 중에 피해 사례가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총학은 즉시 피해 사례를 취합하고 학교 측에 강력히 개선을 요구했다. 우리학교 재학생 익명 커뮤니티인 에브리타임(이하 에타) 설캠 자유게시판엔 여러 후속 조치의 필요...
우리학교 송도캠퍼스 설치 계획 교육부 승인 202...
[대학보도]
2025-09-03 16:20:00
임재언 기자
우리학교는 지난 1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조성 중인 송도캠퍼스(이하 송도캠) 설치 계획에 대해 교육부 대학 설립 및 개편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승인에 따라 우리학교 송도캠은 총 43,595㎡(약 13,188평)의 교지에 2개 동과 6,241㎡(약 1,888평) 규모의 교사에서 기존 글로벌캠퍼스(이하 글캠) 입학정원 일부를 활용해 매년 100명의 학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송도캠에는 글로벌바이오&비즈니스(Global Bio&Business) 융합학부와 외국인 자유...
우리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 평가 2년 연속...
[대학보도]
2025-09-03 16:20:00
송주원 기자
우리학교는 지난달 6일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대학 혁신 지원 사업의 성과 평가에서 2년 연속 최고 등급을 달성했다. 지난해 제2주기 성과 평가에서 ‘교육 혁신성과’ 부문 S등급과 ‘자체 성과관리’ 부문 A등급을 받아 총 114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지원받았던 우리학교는 제3주기 사업의 첫해인 이번 해에도 최고 등급을 유지하며 우수한 교육혁신 성과를 입증했다. 대학 혁신 지원 사업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기본 역량을 강화하고 특성화 전략을 추진할 수 있도록 교육...
“샐러리맨의 신화” 윤윤수 회장, 우리학교 졸...
[대학보도]
2025-09-03 16:15:00
송주원 기자
우리학교는 지난달 22일 서울캠퍼스(이하 설캠)와 글로벌캠퍼스에서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설캠 학위수여식은 오전 10시 설캠 미네르바 콤플렉스 오바마홀에서 학부 및 대학원 합동으로 열렸다. 이날 행사엔 윤윤수(사회‧정외 66) 미스토홀딩스(Misto Holdings) 회장(이하 윤 회장)이 졸업생 후배들에게 축사를 전했다. 윤 회장은 평범한 샐러리맨(Salary Man)으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뎠다. 지난 1991년 휠라코리아(Fila Korea) (現 미스토코리아(Misto Korea))를 ...
우리학교 진로취업지원센터, 기업체 인사 관계...
[대학보도]
2025-09-03 16:15:00
임재언 기자
우리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진로취업지원센터는(이하 진취센터) 지난달 5일부터 6일까지 동원리더스아카데미(Dongwon Leaders Academy) 본관에서 ‘기업 인사 관계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기업 인사 관계자 간담회는 우리학교에서 진행해 온 행사로 이번 간담회는 건국대학교 및 세종대학교와 연합해 진행한 대규모 행사였다. 이번 간담회는 대학의 평판 제고와 인사 관계자 네트워크 구축을 목적으로 마련됐으며 주요 기업 인사 부서 실무자 40여명이 참석했다. 해당 ...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