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추가
기사제보
서울
24 °C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제주
강릉
강진군
강화
거제
거창
경주시
고산
고창
고창군
고흥
광양시
구미
군산
금산
김해시
남원
남해
대관령
동두천
동해
목포
문경
밀양
백령도
보령
보성군
보은
봉화
부안
부여
북강릉
북창원
북춘천
산청
상주
서귀포
서산
성산
속초
수원
순창군
순천
안동
양산시
양평
여수
영광군
영덕
영월
영주
영천
완도
울릉도
울산
울진
원주
의령군
의성
이천
인제
임실
장수
장흥
전주
정선군
정읍
제천
진도
진도군
진주
창원
천안
철원
청송군
청주
추풍령
춘천
충주
태백
통영
파주
포항
함양군
합천
해남
홍성
홍천
흑산도
모바일웹
독자투고
유머마당
맛집이야기
여행갤러리
동영상
칭찬합시다
행사이벤트
알립니다
자유게시판
대학보도
주요기사
재외동포협력센터가 주최하고 우리학교가 주관하는 ‘2025...
0
31
우리학교 송도캠퍼스 설치 계획 교육부 승인 20...
0
36
우리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 평가 2년 연...
0
36
“샐러리맨의 신화” 윤윤수 회장, 우리학교 ...
0
33
우리학교 진로취업지원센터, 기업체 인사 관계...
0
33
기획
주요기사
같은 이름의 두 집 살림, 이원화캠퍼스 전환 정책의 현황
0
94
기숙사 공유 공간, 과연 ‘함께’ 쓰는 공간 맞...
0
52
우리학교 국제학사 휴게실, ‘쓰이는 공간’이 ...
0
32
매크로로 얼룩진 수강신청...피해 구제는 한계
0
35
마이크로디그리, 더 나은 교육 과정을 위해선
0
294
심층
주요기사
기후 위기 시대, 대학이 바꾸는 캠퍼스의 풍경
0
36
선을 넘은 계절학기 수강료... 등골 휘는 대학...
0
261
청년 금융이해력 부족, 실질적 금융 교육이 필...
0
308
대학생 챗GPT 사용, 어떻게 쓸 것인가
0
313
청년층 초급간부 기피 현상, 지속 가능한 국방...
0
371
국제
주요기사
헝가리: <장미 박람회> -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정...
0
28
중국 교환학생, 두려움에서 성장으로
0
41
아일랜드: <이처럼 사소한 것들> - 침묵...
0
229
특별했던 슬로베니아
0
279
평화롭고 조용한 시골 하엔
0
257
사회
주요기사
민생회복 소비쿠폰, 활력인가 부담인가
0
36
무인점포의 양면성, 편리성과 위험성
0
255
사라지는 땅, 드러나는 도시의 민낯
0
265
불법체류자, 우리 사회의 숨은 기둥이자 제도 ...
0
274
사이버 레커, 정보 전달의 무법자
0
335
학술
주요기사
노사 갈등, ‘노란봉투법’이 해법 될까... 남은 법적 쟁...
0
43
미사일 충돌과 긴장 고조, 인도-파키스탄 관계...
0
211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기술과 저작권 문제
0
294
한중 잠정조치수역, 평화의 공간인가 분쟁의 ...
0
284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35일 만의 재지정...
0
351
사설ㆍ칼럼
주요기사
외대학보가 전하는 개강의 소리
0
33
타인에겐 존중을 본인에겐 겸손을
0
28
[책 ‘여행의 이유’를 읽고] 여행, 나를 잊...
0
37
[영화 ‘노트북’을 보고] 사랑이 끝난 곳에서...
0
34
[책 ‘동네 병원 인문학’을 읽고] 일상의 진...
0
230
인물
주요기사
코트 밖 3점슛 원석연 기자를 만나다
0
245
우리나라 인디 록의 전설 델리스파이스의 윤준...
0
332
역사의 숨결을 소설로 담는 김진명 작가를 만나...
0
297
이탈리아 문화를 사랑하는 구지훈 창원대학교 ...
0
459
중국 글로벌 비즈니스의 미래를 이끄는 신승대 ...
0
502
열린공간
주요기사
시의성과 설득력
0
36
완벽을 쫓는 성장한 나
0
221
사람이 쓴 글의 가치
0
295
학보하는 여자
0
268
읽히지 않는 시대에 쓰다
0
356
0
94
기획
같은 이름의 두 집 살림, 이원화캠퍼스 전환 정책의 현황
지난 4월과 5월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총학생회(이하 총학) 중앙운영위원회는 과거 글로벌캠퍼스(이하 글캠) 소속 유사 중복학과 통폐합(이하 통폐합)에 따른 교원 및 학생의 설캠 수용에 관해 학교와 논의한 바 있다. 지난 2022년부터 추진된 일련의 통폐합 추진의 목적은 분교였던 글캠이 실질적인 ‘이원화캠...
남우현 기자
국제
중국 교환학생, 두려움에서 성장으로
나는 스스로 중국어 실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곤 했다. 전공어임에도 능숙하지 못한 스스로가 부끄러웠고 이를 극복하는 동시에 내가 배운 중국과 실제 중국의 차이를 알고자 우리학교 교환 학생 프로그램을 신청했다. 나는 중국 산동대학교(山东大学 이하 산동대)로 가게 됐다. 막상 교환 신청을 하니 설렘과 두려움이 공존...
--- 기자
0
41
기획
기숙사 공유 공간, 과연 ‘함께’ 쓰는 공간 맞나?
우리학교 글로벌캠퍼스(이하 글캠) 기숙사 훕스돔(HUFS Dorm)은 다양한 국적과 학과 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는 소중한 보금자리다. 또한 △비교적 저렴한 비용△통학의 편리성△편리한 생활 환경 덕분에 많은 학생들이 선호한다. 그러나 실제 생활 속에선 △라운지(Lounge)△세탁실△열람실△휴게실 공간 등 기숙사 내 공유 ...
이해봄 기자
0
52
학술
노사 갈등, ‘노란봉투법’이 해법 될까... 남은 법적 쟁점과 사회적 과제는
지난 달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조 개정안(이하 노란봉투법)’이 우리 사회에 큰 파장을 던지고 있다. 노란봉투법을 두고 노동계는 헌법상 노동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입법이라며 환영하는 반면 경영계는 불법 파업 조장과 산업 생태계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관련 효과를 ...
윤고은 기자
0
43
기획
더보기
같은 이름의 두 집 살...
{{δ NEWS.number,,2,οϷ2,ϼ}}
지난 4월과 5월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총학생회(이하 총학) 중앙운영위원회는 과거 글로벌캠퍼스(이하 글캠) 소속 유사 중복학과 통폐합(이하 통폐합)에 따른 교원 및 학생의 설캠 수용에 관해 학교와 논...
기숙사 공유 공간, 과...
{{δ NEWS.number,,2,οϷ2,ϼ}}
우리학교 글로벌캠퍼스(이하 글캠) 기숙사 훕스돔(HUFS Dorm)은 다양한 국적과 학과 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는 소중한 보금자리다. 또한 △비교적 저렴한 비용△통학의 편리성△편리한 생활 환경 덕분에 많은 학생들이...
우리학교 국제학사 휴...
{{δ NEWS.number,,2,οϷ2,ϼ}}
지난 1090호 준기획 기사에선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국제학사(이하 국학) 휴게실 관리 현황과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방안에 대해 다뤘다. 서울캠퍼스 총학생회(이하 설캠 총학)는 우리학교 학생을 위해 단...
매크로로 얼룩진 수강...
{{δ NEWS.number,,2,οϷ2,ϼ}}
지난달 4일 우리학교 4학년 수강신청에서 시스템(System) 및 홈페이지(Homepage) 접속 오류로 약 450명의 학생이 피해를 입는 사태가 발생했다. 우리학교 서울캠퍼스 총학생회 (이하 설캠 총학)은 악성 매크로(Macro...
마이크로디그리, 더 나...
{{δ NEWS.number,,2,οϷ2,ϼ}}
우리학교는 지난 2023년부터 전문 지식과 융합 학문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마이크로디그리(Micro Degree) 제도를 도입했다. 매 학기 1월 및 7월마다 마이크로디그리 수강 신청이 열리고 있지만 △구체적 내용의 인...
기획
94
같은 이름의 두 집 살림, 이원화캠퍼스 전환 정책의 현황
지난 4월과 5월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총학생회(이하 총학) 중앙운영위원회는 과거 글로벌캠퍼스(이하 글캠) 소속 유사 중복학과 통폐합(이하 통폐합)에 따른 교원 및 학생의 설캠 수용에 관해 학교와 논의한 바 있다. 지난 2022년부터 추진된 ...
2025-09-03
국제
41
중국 교환학생, 두려움에서 성장으로
나는 스스로 중국어 실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곤 했다. 전공어임에도 능숙하지 못한 스스로가 부끄러웠고 이를 극복하는 동시에 내가 배운 중국과 실제 중국의 차이를 알고자 우리학교 교환 학생 프로그램을 신청했다. 나는 중국 산동대학교(山东大学 이하 ...
2025-09-03
기숙사 공유 공간, 과연 ‘함께’ 쓰는 공간 맞나?
기획
이해봄 기자
2025-09-03
노사 갈등, ‘노란봉투법’이 해법 될까... 남은 법적 쟁...
학술
윤고은 기자
2025-09-03
타인에겐 존중을 본인에겐 겸손을
사설.칼럼
외대학보가 전하는 개강의 소리
사설.칼럼
[영화 ‘노트북’을 보고] 사랑이 끝난 곳에서도 사랑으로...
사설.칼럼
[책 ‘여행의 이유’를 읽고] 여행, 나를 잊기 위한 여정
사설.칼럼
뉴스
랭킹
다양한 상황별 점수가 집계된 랭킹순 뉴스
1
반복되는 산업재해, 죽음의 굴레에서...
1692
2
[영화‘ 복수는 나의 것’을 보고] ...
1455
3
같은 이름의 두 집 살림, 이원화캠퍼...
94
4
외부인 출입 자유로운 학생 식당, 이...
399
5
이탈리아 문화를 사랑하는 구지훈 ...
459
6
기숙사 공유 공간, 과연 ‘함께’ 쓰...
52
7
선을 넘은 계절학기 수강료... 등골...
261
8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기술과 저작권...
294
PHOTO NEWS
정현규 바이오플러스 회장 마스크 20만 장 기부해
프랑스,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교내 야간 소음문제 심각해
사실적시명예훼손죄, 표현의 자유와 인격권 사이
대학보도
더보기
재외동포협력센터가 주최하고 ...
{{δ NEWS.number,,2,οϷ2,ϼ}}
우리학교는 지난달 1일부터 8일까지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재외동포청 산하 재외동포협력센터가 주최하는 ‘2025 차세대동포 한국어 집중 캠프’를 진행했다. 차세대 동포 한국어 집중 캠프는 외교부 산하 사업으로...
우리학교 송도캠퍼스 설치 계획 교육부 승인 2027년...
우리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 평가 2년 연속 최...
“샐러리맨의 신화” 윤윤수 회장, 우리학교 졸업...
기획
더보기
같은 이름의 두 집 살림, 이원화캠퍼스 전환 정책의 현황
{{δ NEWS.number,,2,οϷ2,ϼ}}
지난 4월과 5월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총학생회(이하 총학) 중앙운영위원회는 과거 글로벌캠퍼스(이하 글캠) 소속 유사 중복학과 통폐합(이하 통폐합)에 따른 교원 및 학생의 설캠 수용에 관해 학교와 논...
기숙사 공유 공간, 과연 ‘함께’ 쓰는 공간 맞나?
우리학교 국제학사 휴게실, ‘쓰이는 공간’이 되기 위해선
매크로로 얼룩진 수강신청...피해 구제는 한계
심층
더보기
[영화‘ 복수는 나의 것’을 보고] 소외계층을 대하는 사회의 민낯
{{δ NEWS.number,,2,οϷ2,ϼ}}
영화‘복수는 나의 것’은 박찬욱 감독의 복수를 주제로 한 3부작 영화 중 가장 어둡다.청각장애인인 주인공‘ 류’는 몸이 아픈 누나의 수술비 마련을 위해 공장에서 일한다.그러나공장에서 해고당해 수술비 마련이...
[책‘ 알지 못하는 아이의 죽음을’ 읽고] 슬픔이 다른 슬픔과 연결될 때
현장 취재에서 찾은 가치
국제
더보기
헝가리: <장미 박람회> -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정원 -
{{δ NEWS.number,,2,οϷ2,ϼ}}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을 방영하는 다큐멘터리(Documentary). 헝가리(Hungary)의 한 신입 프로듀서(Producer) 아론(ron)의 패기에서 시작된 이 기획은 ‘장미 박람회’라는 다소 엉뚱한 제목으로 시작한다. 이 책의 ...
중국 교환학생, 두려움에서 성장으로
아일랜드: <이처럼 사소한 것들> - 침묵을 걷고 용기의 길로 나아간 한 사람의 겨울 -
특별했던 슬로베니아
사회
더보기
민생회복 소비쿠폰, 활력인가 부담인가
{{δ NEWS.number,,2,οϷ2,ϼ}}
지난 7월 21일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선불카드△신용 및 체크카드△지역사랑상품권(이하 지역화폐)을 통해 지원금을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소비쿠폰) 정책을 시행했다. 소비쿠폰 정책은 침체된 ...
무인점포의 양면성, 편리성과 위험성
사라지는 땅, 드러나는 도시의 민낯
불법체류자, 우리 사회의 숨은 기둥이자 제도 밖의 존재
학술
더보기
노사 갈등, ‘노란봉투법’이 해법 될까... 남은 법적 쟁점과 사회적 과제는
{{δ NEWS.number,,2,οϷ2,ϼ}}
지난 달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조 개정안(이하 노란봉투법)’이 우리 사회에 큰 파장을 던지고 있다. 노란봉투법을 두고 노동계는 헌법상 노동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입법이라며 환...
미사일 충돌과 긴장 고조, 인도-파키스탄 관계의 다음 국면은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기술과 저작권 문제
한중 잠정조치수역, 평화의 공간인가 분쟁의 시작인가?
사설.칼럼
더보기
외대학보가 전하는 개강의 소리
{{δ NEWS.number,,2,οϷ2,ϼ}}
여름 내내 우리를 괴롭히던 무더위가 한풀 꺾이고 개강이 찾아왔다. 이번 학기 좋은 기사를 작성하기 위해 방학 내내 교육에 열심히 참여해주신 111기 신입기자들에게 고맙고 든든한 마음이 드는 한편 이분들을 보며...
타인에겐 존중을 본인에겐 겸손을
[책 ‘여행의 이유’를 읽고] 여행, 나를 잊기 위한 여정
[영화 ‘노트북’을 보고] 사랑이 끝난 곳에서도 사랑으로 남아 있는 사람
인물
더보기
코트 밖 3점슛 원석연 기자를 만나다
{{δ NEWS.number,,2,οϷ2,ϼ}}
원석연 (글로벌스포츠기자는 농구 전문 콘텐츠(Contents)를 다루는 기자이자 크리에이터(Creator)다. ‘루키 더 바스켓(Rookie The Basket)’에서 취재 기자로 활동했던 그는 현재 △유튜브(Youtube) 채널 ‘농구대...
우리나라 인디 록의 전설 델리스파이스의 윤준호 베이시스트를 만나다
역사의 숨결을 소설로 담는 김진명 작가를 만나다
이탈리아 문화를 사랑하는 구지훈 창원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만나다
열린공간
더보기
시의성과 설득력
{{δ NEWS.number,,2,οϷ2,ϼ}}
시의성은 당시의 사정과 사회의 요구에 맞는가를 뜻하는 단어로 방중교육에서 나는 ‘시의성을 갖춘 기사’를 거듭 강조해 배웠다. 그땐 시의성이 뉴스의 당연한 덕목이라 여겼지만 기사를 쓰면서 시의성은 종종 나...
완벽을 쫓는 성장한 나
사람이 쓴 글의 가치
학보하는 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