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추가
기사제보
서울
7 °C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제주
강릉
강진군
강화
거제
거창
경주시
고산
고창
고창군
고흥
광양시
구미
군산
금산
김해시
남원
남해
대관령
동두천
동해
목포
문경
밀양
백령도
보령
보성군
보은
봉화
부안
부여
북강릉
북창원
북춘천
산청
상주
서귀포
서산
성산
속초
수원
순창군
순천
안동
양산시
양평
여수
영광군
영덕
영월
영주
영천
완도
울릉도
울산
울진
원주
의령군
의성
이천
인제
임실
장수
장흥
전주
정선군
정읍
제천
진도
진도군
진주
창원
천안
철원
청송군
청주
추풍령
춘천
충주
태백
통영
파주
포항
함양군
합천
해남
홍성
홍천
흑산도
모바일웹
독자투고
유머마당
맛집이야기
여행갤러리
동영상
칭찬합시다
행사이벤트
알립니다
자유게시판
대학보도
주요기사
우리학교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 ‘2025년 특수외국어교육진...
0
34
우리학교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학과, 유누스...
0
28
우리학교 GTEP사업단, ‘CES 2025’ 등 해외 전...
0
28
명희준 우리학교 생명공학과 교수, 차세대 유...
0
30
우리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2024학년도 ...
0
27
기획
주요기사
논란 끝에 타결된 등록금 인상, 기대 효과와 향후 과제는?
0
54
학생 복지를 위한 제휴 사업, 제대로 운영되고 ...
0
33
학위복 대여 사업 문제, 모두가 행복한 졸업을 ...
0
30
자치 공간 개선 노력, 학생 활동 증진 유지를 ...
0
34
제59대 총학생회 ‘박동’ 당선, 그 과정과 결...
0
317
심층
주요기사
대학생 자치활동 참여율 저조, 학생 목소리 사라진 캠퍼스
0
35
2년의 시간이 흐른 이태원 참사, 앞으로의 안...
0
246
청년층 독서 위기: 책과 멀어진 세대, 청년층 ...
0
314
실패하는 청년 귀농, 돌파구는 어디에
0
294
청년층 노린 사이비 종교, 교묘한 유혹의 덫
0
479
국제
주요기사
브라질: <아구아 비바> - 불굴의 언어를 위한 투쟁 ...
0
27
제2의 고향이 된 중국
0
32
태국에서 얻은 기다림의 미학
0
232
영국: <버마시절> - 세상의 아름다움과 ...
0
197
프랑스: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 사랑,...
0
239
사회
주요기사
최저임금 1만 원 시대, 노사의 상생을 위해선
0
40
예술·체육요원, 누구를 위한 병역특례인가
0
264
사람 살리는 국민건강보험제도, 그 이면을 살...
0
225
통폐합 및 신설 학과 처우 문제, 유의미한 합...
0
244
늘어가는 스팸문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0
238
학술
주요기사
중국 인공지능 딥시크, 개인정보 유출 논란에 대응하기 위...
0
47
북한-러시아 군사 협력 강화, 그 배경과 전망
0
238
2024 미국의 선택, 세계가 마주한 거대한 변화
0
253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돌 인권 문제, 이젠 그 불...
0
270
상속권 상실제도 구하라법, 부모의 역할과 책...
0
273
사설ㆍ칼럼
주요기사
[책 ‘너무 시끄러운 고독’을 읽고] 격변하는 세상과 인...
0
32
[영화 ‘원더풀 라이프’를 보고] 22년 인생 ...
0
33
누구에게나 새로운 시작이 되기를 응원하며
0
33
비판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
0
59
인공지능, 일상의 편리를 넘어
0
221
인물
주요기사
헌법의 연구자 전학선 우리학교 법전원 교수를 만나다
0
54
세계의 하늘을 품은 김지영 승무원을 만나다
0
354
올어라운드 플레이어 특정 영역을 가리지 않는 ...
0
294
정신동 우리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만나다
0
329
노랫말로 심금을 울리는 인기곡 제조기 황유빈...
0
352
열린공간
주요기사
불안을 마주하는 방법
0
31
학보라는 작은 문학 속, 나의 깨달음
0
254
과거에서 배우고, 현재에 집중하며, 미래를 ...
0
256
학보의 계절
0
244
학생기자로서의 첫 기록
0
259
0
54
기획
논란 끝에 타결된 등록금 인상, 기대 효과와 향후 과제는?
올해부터 우리학교 등록금이 전년 대비 5% 인상됐다. 십수 년간 이어진 등록금 동결 기조를 깨고 전국 각지 대학에서 대대적으로 등록금 인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학교 역시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에 대해 총학생회(이하 총학)에선 등록금심의위원회(이하 등심위)가 열리는 서울캠퍼스(이하 설캠) 본관 ...
한영빈 기자
학술
중국 인공지능 딥시크, 개인정보 유출 논란에 대응하기 위해선
중국 신생기업이 출시한 인공지능 모델 ‘딥시크(DeepSeek)’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며 국제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대화나 입력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점차 성능을 향상하는 인공지능 모델이다. 기본 검색 기능부터 복잡한 데...
윤고은 기자
0
47
국제
제2의 고향이 된 중국
나는 중학교 때부터 줄곧 중국 드라마를 보며 중국에서 학교생활을 하는 것을 꿈꿨다. 대학교에 가면 교환학생으로 꼭 중국에 가겠다 다짐하며 중국언어문화를 전공으로 선택했다. 그러던 중 24년 2학기에 산동대학교(山东大学)에 교환학생으로 파견돼 공부할 기회가 생겼다. 나는 산동성(山东省)에 위치한 여러 산동대학교...
--- 기자
0
32
인물
헌법의 연구자 전학선 우리학교 법전원 교수를 만나다
전학선 우리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이하 법전원) 교수(이하 전 교수)는 1991년에 우리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후 우리학교 대학원을 거쳐 파리 11 대학(Université Paris-Sud)에서 헌법 및 헌법소송법 분야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헌법재판소 재판연구소 재판연구원으로 일했으며 광운대학교 및 단국대학교 교수를 역...
박진하 기자
0
54
기획
더보기
논란 끝에 타결된 등록...
{{δ NEWS.number,,2,οϷ2,ϼ}}
올해부터 우리학교 등록금이 전년 대비 5% 인상됐다. 십수 년간 이어진 등록금 동결 기조를 깨고 전국 각지 대학에서 대대적으로 등록금 인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학교 역시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
학생 복지를 위한 제휴...
{{δ NEWS.number,,2,οϷ2,ϼ}}
현재 총학생회 및 단과대 학생회는 다양한 업체와 제휴를 맺어 학생들에게 할인과 편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의 생활에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미가 있으나 동시에 △동종 업체 간의 중복 제...
학위복 대여 사업 문제...
{{δ NEWS.number,,2,οϷ2,ϼ}}
지난달 14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된 우리학교 학위복 대여 사업을 둘러싸고 논란이 불거졌다. 학위복 대여 사업은 우리학교 양캠 총학생회(이하 총학) 측에서 학위복을 구매해 진행하는 졸업 사업의 일환이다. 글로벌...
자치 공간 개선 노력, ...
{{δ NEWS.number,,2,οϷ2,ϼ}}
지난 1086호 기획 기사에선 교내 자치 공간 문제를 다뤘다. 공간 확충을 통해 자치 공간을 개선할 가능성이 커진 반면 자치 공간 운영시간 규제 및 냉난방기 운영시간 제한 문제는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이에 △자...
제59대 총학생회 ‘박...
{{δ NEWS.number,,2,οϷ2,ϼ}}
지난달 27일부터 28일까지 이뤄진 투표를 통해 제59대 서울캠퍼스 총학생회(이하 설캠 총학) 선거운동본부(이하 선본) ‘박동’이 당선됐다. 지난해와 달리 단선으로 치러진 선거에서 ‘박동’은 투표율 30%를 넘기...
기획
54
논란 끝에 타결된 등록금 인상, 기대 효과와 향후 과제는?
올해부터 우리학교 등록금이 전년 대비 5% 인상됐다. 십수 년간 이어진 등록금 동결 기조를 깨고 전국 각지 대학에서 대대적으로 등록금 인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학교 역시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에 대해 총학생회(이하 총학)에선 등...
2025-03-05
학술
47
중국 인공지능 딥시크, 개인정보 유출 논란에 대응하기 위해선
중국 신생기업이 출시한 인공지능 모델 ‘딥시크(DeepSeek)’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며 국제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대화나 입력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점차...
2025-03-05
제2의 고향이 된 중국
국제
--- 기자
2025-03-05
헌법의 연구자 전학선 우리학교 법전원 교수를 만나다
인물
박진하 기자
2025-03-05
우리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2024학년도 동계 초집중...
대학보도
비판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
사설.칼럼
누구에게나 새로운 시작이 되기를 응원하며
사설.칼럼
[영화 ‘원더풀 라이프’를 보고] 22년 인생 중 가장 행복...
사설.칼럼
뉴스
랭킹
다양한 상황별 점수가 집계된 랭킹순 뉴스
1
반복되는 산업재해, 죽음의 굴레에서...
1393
2
[영화‘ 복수는 나의 것’을 보고] ...
1181
3
비판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
59
4
세계의 하늘을 품은 김지영 승무원을...
354
5
어둠 속 고립된 이들을 비추는 구원...
330
6
서울캠퍼스 도서관 사물함 부족, 이...
276
7
헌법의 연구자 전학선 우리학교 법전...
54
8
우리학교 이중·부전공 제도의 허점,...
387
PHOTO NEWS
정현규 바이오플러스 회장 마스크 20만 장 기부해
프랑스,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교내 야간 소음문제 심각해
사실적시명예훼손죄, 표현의 자유와 인격권 사이
대학보도
더보기
우리학교 특수외국어교육진흥...
{{δ NEWS.number,,2,οϷ2,ϼ}}
지난 1월 20일 우리학교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이하 특교원)은 우리학교 교수회관 강연실에서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엔 △교육부-국립국제교육원△단국대청운대 컨소시엄△부산외대△우리학교 특수외...
우리학교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학과, 유누스엠레 ...
우리학교 GTEP사업단, ‘CES 2025’ 등 해외 전시회...
명희준 우리학교 생명공학과 교수, 차세대 유망 항...
기획
더보기
논란 끝에 타결된 등록금 인상, 기대 효과와 향후 과제는?
{{δ NEWS.number,,2,οϷ2,ϼ}}
올해부터 우리학교 등록금이 전년 대비 5% 인상됐다. 십수 년간 이어진 등록금 동결 기조를 깨고 전국 각지 대학에서 대대적으로 등록금 인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학교 역시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
학생 복지를 위한 제휴 사업, 제대로 운영되고 있나?
학위복 대여 사업 문제, 모두가 행복한 졸업을 위해선
자치 공간 개선 노력, 학생 활동 증진 유지를 위해선
심층
더보기
[영화‘ 복수는 나의 것’을 보고] 소외계층을 대하는 사회의 민낯
{{δ NEWS.number,,2,οϷ2,ϼ}}
영화‘복수는 나의 것’은 박찬욱 감독의 복수를 주제로 한 3부작 영화 중 가장 어둡다.청각장애인인 주인공‘ 류’는 몸이 아픈 누나의 수술비 마련을 위해 공장에서 일한다.그러나공장에서 해고당해 수술비 마련이...
[책‘ 알지 못하는 아이의 죽음을’ 읽고] 슬픔이 다른 슬픔과 연결될 때
현장 취재에서 찾은 가치
국제
더보기
브라질: <아구아 비바> - 불굴의 언어를 위한 투쟁 -
{{δ NEWS.number,,2,οϷ2,ϼ}}
‘아구아 비바(Agua Viva)’를 직역하면 ‘살아있는 물’이란 뜻이다. 책의 저자 클라리시 리스펙토르(Clarice Lispector)는 언어를 살아있는 물로 여기며 그 속에 완전히 녹아들어 문단과 행간을 자유롭게 헤엄친다...
제2의 고향이 된 중국
태국에서 얻은 기다림의 미학
영국: <버마시절> - 세상의 아름다움과 구조의 억압, 그 괴리 속 개인의 고뇌 -
사회
더보기
최저임금 1만 원 시대, 노사의 상생을 위해선
{{δ NEWS.number,,2,οϷ2,ϼ}}
올해 1월부터 최저임금이 시간당 10,030원으로 인상됐다. 1988년 최저임금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시간당 1만 원을 넘긴 셈이다. 하지만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인상률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는 찾아볼 수 없...
예술·체육요원, 누구를 위한 병역특례인가
사람 살리는 국민건강보험제도, 그 이면을 살펴보다
통폐합 및 신설 학과 처우 문제, 유의미한 합의점을 도출해야 할 때
학술
더보기
중국 인공지능 딥시크, 개인정보 유출 논란에 대응하기 위해선
{{δ NEWS.number,,2,οϷ2,ϼ}}
중국 신생기업이 출시한 인공지능 모델 ‘딥시크(DeepSeek)’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며 국제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대화나 입력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
북한-러시아 군사 협력 강화, 그 배경과 전망
2024 미국의 선택, 세계가 마주한 거대한 변화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돌 인권 문제, 이젠 그 불씨를 지필 때
사설.칼럼
더보기
[책 ‘너무 시끄러운 고독’을 읽고] 격변하는 세상과 인간의 삶
{{δ NEWS.number,,2,οϷ2,ϼ}}
격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 모두는 발버둥 치며 살아간다. 이 책의 주인공 한탸(Hantya)의 삶도 그러했다. 보후밀 흐라발(Bohumil Hrabal)의 ‘너무 시끄러운 고독’은 그의 정수가 담긴 역작으로 평가받는다. 출...
[영화 ‘원더풀 라이프’를 보고] 22년 인생 중 가장 행복했던 한 순간을 선택하시오
누구에게나 새로운 시작이 되기를 응원하며
비판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
인물
더보기
헌법의 연구자 전학선 우리학교 법전원 교수를 만나다
{{δ NEWS.number,,2,οϷ2,ϼ}}
전학선 우리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이하 법전원) 교수(이하 전 교수)는 1991년에 우리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후 우리학교 대학원을 거쳐 파리 11 대학(Université Paris-Sud)에서 헌법 및 헌법소송법 분야 법학박사 학...
세계의 하늘을 품은 김지영 승무원을 만나다
올어라운드 플레이어 특정 영역을 가리지 않는 김지한 스포츠 기자를 만나다
정신동 우리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만나다
열린공간
더보기
불안을 마주하는 방법
{{δ NEWS.number,,2,οϷ2,ϼ}}
나에게 불안은 잘하고 싶단 마음에서 비롯된 작은 의심이다. 어떤 일이든 완벽하게 해내고 싶다는 욕심이 있어 실수하면 안 된다는 생각과 “과연 내가 잘할 수 있을까?”란 의문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 그래서 ...
학보라는 작은 문학 속, 나의 깨달음
과거에서 배우고, 현재에 집중하며, 미래를 계획하기
학보의 계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