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추가
기사제보
서울
14 °C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제주
강릉
강진군
강화
거제
거창
경주시
고산
고창
고창군
고흥
광양시
구미
군산
금산
김해시
남원
남해
대관령
동두천
동해
목포
문경
밀양
백령도
보령
보성군
보은
봉화
부안
부여
북강릉
북창원
북춘천
산청
상주
서귀포
서산
성산
속초
수원
순창군
순천
안동
양산시
양평
여수
영광군
영덕
영월
영주
영천
완도
울릉도
울산
울진
원주
의령군
의성
이천
인제
임실
장수
장흥
전주
정선군
정읍
제천
진도
진도군
진주
창원
천안
철원
청송군
청주
추풍령
춘천
충주
태백
통영
파주
포항
함양군
합천
해남
홍성
홍천
흑산도
모바일웹
독자투고
유머마당
맛집이야기
여행갤러리
동영상
칭찬합시다
행사이벤트
알립니다
자유게시판
대학보도
주요기사
우리학교 개교 71주년 기념식 개최, ‘100년 외대’ 도약 ...
0
8
우리학교 중남미연구소 HK+사업단, 중남미 생...
0
5
우리학교 TESOL대학원, 2025학년도 후기 입학...
0
2
우리학교 폴란드학과, ‘故김용덕 교수 장학회...
0
3
우리학교 GTEP사업단, 산업부·무역협회장상 ...
0
3
기획
주요기사
강의평가의 딜레마: 남긴 피드백, 돌아오지 않는 변화
0
7
무전공 입학 전형, 원활한 정착을 위해선
0
5
보궐선거로 다시 세운 총학생회, ‘내일:로(溫)...
0
4
연기 없는 캠퍼스를 위해… ‘흡연 구역’ 재설...
0
4
의무지만 지원은 부족, 우리학교 소프트웨어 교...
0
99
심층
주요기사
대학생 챗GPT 사용, 어떻게 쓸 것인가
0
4
청년층 초급간부 기피 현상, 지속 가능한 국방...
0
88
국내 외국인 유학생 20만 시대... 생계를 위해...
0
115
대학생 자치활동 참여율 저조, 학생 목소리 사...
0
139
2년의 시간이 흐른 이태원 참사, 앞으로의 안...
0
348
국제
주요기사
새로운 나라 다양한 경험
0
4
미국: <대성당> - 공감의 시작에 대해 -
0
3
대만: <귀신들의 땅> - 과거가 있는 한 ...
0
70
한국인 없는 학교에서 살아남기
0
83
영국에서의 짧지만 귀중한 한 달
0
117
사회
주요기사
불법체류자, 우리 사회의 숨은 기둥이자 제도 밖의 존재
0
5
사이버 레커, 정보 전달의 무법자
0
92
‘직장 내 괴롭힘’ 끊어내기 위해선
0
113
최저임금 1만 원 시대, 노사의 상생을 위해선
0
152
예술·체육요원, 누구를 위한 병역특례인가
0
397
학술
주요기사
한중 잠정조치수역, 평화의 공간인가 분쟁의 시작인가?
0
4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35일 만의 재지정...
0
74
트럼프발 ‘관세전쟁’, 국제 무역 질서 흔들...
0
108
중국 인공지능 딥시크, 개인정보 유출 논란에 ...
0
150
북한-러시아 군사 협력 강화, 그 배경과 전망
0
343
사설ㆍ칼럼
주요기사
타는 목마름으로
0
6
[영화 ‘잉글랜드 이즈 마인’을 보고] 실패의...
0
5
숨 고르며, 학교의 내일을 준비하다
0
3
[책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고] 성장 속에 ...
0
3
각자의 문제
0
79
인물
주요기사
역사의 숨결을 소설로 담는 김진명 작가를 만나다
0
4
이탈리아 문화를 사랑하는 구지훈 창원대학교 ...
0
114
중국 글로벌 비즈니스의 미래를 이끄는 신승대 ...
0
157
헌법의 연구자 전학선 우리학교 법전원 교수를 ...
0
175
세계의 하늘을 품은 김지영 승무원을 만나다
0
489
열린공간
주요기사
학보하는 여자
0
4
읽히지 않는 시대에 쓰다
0
80
뒷담 까일 기자
0
118
불안을 마주하는 방법
0
132
학보라는 작은 문학 속, 나의 깨달음
0
356
0
5
기획
무전공 입학 전형, 원활한 정착을 위해선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는 2025학년도 입시부터 무전공 입학 제도를 도입했다. 해당 제도는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자유로운 선택을 보장하고 스스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유연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자 도입됐으며 자유로운 전공 선택을 가능케 했단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학생들이 학...
현재우 기자
학술
한중 잠정조치수역, 평화의 공간인가 분쟁의 시작인가?
지난달 개최된 제3차 한중 해양협력대화에선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서해 잠정조치 수역에 중국이 일방적으로 설치한 구조물 문제가 주요하게 다뤄졌다. 중국은 지난 2018년과 2024년 두 차례에 걸쳐 선란 1호 및 2호를 서해에 설치했으며 지난 2022년엔 석유 시추 설비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했지만 어업양식 시설...
한영빈 기자
0
4
국제
새로운 나라 다양한 경험
독일어에 대한 내 애정을 확인하고자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에 지난 2022년 8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약 1년간 교환학생으로 다녀왔다. 대학교 진학 후 독일어를 처음 배우며 흥미가 커져 진로로 선택할까 고민이 됐고 이런 고민을 해결하고자 나는 남들보다 이른 학기에 독일에 가게 됐다. 독일의 수많은 도시 중 유독 뷔...
--- 기자
0
4
인물
역사의 숨결을 소설로 담는 김진명 작가를 만나다
김진명(법 76) 작가는 1993년 첫 소설인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를 출간하며 문단에 데뷔한 이후 꾸준히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현재 그는 명실상부한 밀리언셀러(Million Seller)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김진명 작가는 데뷔작부터 시작해 늘 우리 사회의 굵직한 이슈와 역사의 흐름에 깊이 천착하며 그 속에 숨은 의미...
김민서 기자
0
4
기획
더보기
강의평가의 딜레마: 남...
{{δ NEWS.number,,2,οϷ2,ϼ}}
우리학교는 모든 학부생을 대상으로 성적 열람을 위해 강의평가를 필수로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강의평가는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와 수업 개선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는 제도로 운영된다. 그러나 일각에선 우리학교...
무전공 입학 전형, 원...
{{δ NEWS.number,,2,οϷ2,ϼ}}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이하 설캠)는 2025학년도 입시부터 무전공 입학 제도를 도입했다. 해당 제도는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자유로운 선택을 보장하고 스스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유연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자...
보궐선거로 다시 세운 ...
{{δ NEWS.number,,2,οϷ2,ϼ}}
지난달 8일부터 10일까지 실시한 투표를 통해 제46대 글로벌캠퍼스 총학생회(이하 총학) 선거운동본부(이하 선본) ‘내일:로’가 최종 당선됐다. 단선으로 치러진 선거에서 ‘내:일로’는 투표율 42.9%를 넘겼다. 올...
연기 없는 캠퍼스를 위...
{{δ NEWS.number,,2,οϷ2,ϼ}}
지난 1076호에선 교내 흡연구역 지정 및 혐연권 보장에 관한 내용을 다룬 바 있다. 해당 기사에선 △교육과 지원 제공△명확한 구역 수립△흡연 구역 지정 등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교내 ...
의무지만 지원은 부족,...
{{δ NEWS.number,,2,οϷ2,ϼ}}
우리학교는 모든 학부생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software) 기초 과목인 ‘컴퓨팅(computing) 사고(이하 컴사)’와 ‘컴퓨터 프로그래밍(computer programming, 이하 컴프)’을 교양 필수 과목으로 운영하고 있다. 해...
대학보도
8
우리학교 개교 71주년 기념식 개최, ‘100년 외대’ 도약 다짐
지난달 18일 우리학교 서울캠퍼스 국제관 애경홀에서 개교 71주년 기념식이 개최됐다. 행사는 최호성 우리학교 행정지원처장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김광호 우리학교 기획조정처장의 학교 연혁 보고에 이어 △김종철 이사장의 기념사△박정운 총장(이하 박 ...
2025-05-07
인물
4
역사의 숨결을 소설로 담는 김진명 작가를 만나다
김진명(법 76) 작가는 1993년 첫 소설인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를 출간하며 문단에 데뷔한 이후 꾸준히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현재 그는 명실상부한 밀리언셀러(Million Seller)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김진명 작가는 데뷔작부터 시작해 늘 우리 사...
2025-05-07
무전공 입학 전형, 원활한 정착을 위해선
기획
현재우 기자
2025-05-07
한중 잠정조치수역, 평화의 공간인가 분쟁의 시작인가?
학술
한영빈 기자
2025-05-07
새로운 나라 다양한 경험
국제
타는 목마름으로
사설.칼럼
숨 고르며, 학교의 내일을 준비하다
사설.칼럼
불법체류자, 우리 사회의 숨은 기둥이자 제도 밖의 존재
사회
뉴스
랭킹
다양한 상황별 점수가 집계된 랭킹순 뉴스
1
반복되는 산업재해, 죽음의 굴레에서...
1481
2
[영화‘ 복수는 나의 것’을 보고] ...
1263
3
새롭게 떠오른 NFT 플랫폼, 미래 경...
953
4
수업 교재 PDF ‘불법 복제’, 대책...
155
5
20대 대학생의 저조한 정치참여율, ...
2772
6
사이버 레커, 정보 전달의 무법자
92
7
범람하는 외국어, 사라지는 한글
508
8
의무지만 지원은 부족, 우리학교 소...
99
PHOTO NEWS
정현규 바이오플러스 회장 마스크 20만 장 기부해
프랑스,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교내 야간 소음문제 심각해
사실적시명예훼손죄, 표현의 자유와 인격권 사이
대학보도
더보기
우리학교 개교 71주년 기념식 ...
{{δ NEWS.number,,2,οϷ2,ϼ}}
지난달 18일 우리학교 서울캠퍼스 국제관 애경홀에서 개교 71주년 기념식이 개최됐다. 행사는 최호성 우리학교 행정지원처장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김광호 우리학교 기획조정처장의 학교 연혁 보고에 이어 △김종철 ...
우리학교 중남미연구소 HK+사업단, 중남미 생태문...
우리학교 TESOL대학원, 2025학년도 후기 입학설명...
우리학교 폴란드학과, ‘故김용덕 교수 장학회’ ...
기획
더보기
강의평가의 딜레마: 남긴 피드백, 돌아오지 않는 변화
{{δ NEWS.number,,2,οϷ2,ϼ}}
우리학교는 모든 학부생을 대상으로 성적 열람을 위해 강의평가를 필수로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강의평가는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와 수업 개선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는 제도로 운영된다. 그러나 일각에선 우리학교...
무전공 입학 전형, 원활한 정착을 위해선
보궐선거로 다시 세운 총학생회, ‘내일:로(溫)’가 이끈다
연기 없는 캠퍼스를 위해… ‘흡연 구역’ 재설계가 필요하다
심층
더보기
[영화‘ 복수는 나의 것’을 보고] 소외계층을 대하는 사회의 민낯
{{δ NEWS.number,,2,οϷ2,ϼ}}
영화‘복수는 나의 것’은 박찬욱 감독의 복수를 주제로 한 3부작 영화 중 가장 어둡다.청각장애인인 주인공‘ 류’는 몸이 아픈 누나의 수술비 마련을 위해 공장에서 일한다.그러나공장에서 해고당해 수술비 마련이...
[책‘ 알지 못하는 아이의 죽음을’ 읽고] 슬픔이 다른 슬픔과 연결될 때
현장 취재에서 찾은 가치
국제
더보기
새로운 나라 다양한 경험
{{δ NEWS.number,,2,οϷ2,ϼ}}
독일어에 대한 내 애정을 확인하고자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에 지난 2022년 8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약 1년간 교환학생으로 다녀왔다. 대학교 진학 후 독일어를 처음 배우며 흥미가 커져 진로로 선택할까 고민이 됐...
미국: <대성당> - 공감의 시작에 대해 -
대만: <귀신들의 땅> - 과거가 있는 한 귀신은 존재한다 -
한국인 없는 학교에서 살아남기
사회
더보기
불법체류자, 우리 사회의 숨은 기둥이자 제도 밖의 존재
{{δ NEWS.number,,2,οϷ2,ϼ}}
‘불법체류자’들은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서도 우리나라 사회의 필수 인력을 담당하고 있지만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으며 때론 범죄나 사회 불안을 유발하는 존재로 지목되기도 한다. 최근 정부의 단속 강화와 더...
사이버 레커, 정보 전달의 무법자
‘직장 내 괴롭힘’ 끊어내기 위해선
최저임금 1만 원 시대, 노사의 상생을 위해선
학술
더보기
한중 잠정조치수역, 평화의 공간인가 분쟁의 시작인가?
{{δ NEWS.number,,2,οϷ2,ϼ}}
지난달 개최된 제3차 한중 해양협력대화에선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서해 잠정조치 수역에 중국이 일방적으로 설치한 구조물 문제가 주요하게 다뤄졌다. 중국은 지난 2018년과 2024년 두 차례에 걸쳐 선란 1...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35일 만의 재지정...혼돈에 빠진 부동산 시장
트럼프발 ‘관세전쟁’, 국제 무역 질서 흔들리나
중국 인공지능 딥시크, 개인정보 유출 논란에 대응하기 위해선
사설.칼럼
더보기
타는 목마름으로
{{δ NEWS.number,,2,οϷ2,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인용 이후 소위 말하는 ‘대권 잠룡’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촉박하게 돌아가는 대선의 시계 속에서 과거부터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어 온 정치인들이 본격적인 대선 행보에 나서고 있...
[영화 ‘잉글랜드 이즈 마인’을 보고] 실패의 시간을 버티는 일
숨 고르며, 학교의 내일을 준비하다
[책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고] 성장 속에 남는 순수
인물
더보기
역사의 숨결을 소설로 담는 김진명 작가를 만나다
{{δ NEWS.number,,2,οϷ2,ϼ}}
김진명(법 76) 작가는 1993년 첫 소설인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를 출간하며 문단에 데뷔한 이후 꾸준히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현재 그는 명실상부한 밀리언셀러(Million Seller)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김진명...
이탈리아 문화를 사랑하는 구지훈 창원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만나다
중국 글로벌 비즈니스의 미래를 이끄는 신승대 해외주재원을 만나다
헌법의 연구자 전학선 우리학교 법전원 교수를 만나다
열린공간
더보기
학보하는 여자
{{δ NEWS.number,,2,οϷ2,ϼ}}
말은 누군가 들어주지 않으면 그 힘을 잃는다. 말이란 행위는 본질적으로 상대를 향해 있기 때문이다. 그 상대가 부재할 때 생기는 특수한 형태를 ‘혼잣말’이라고 부른다. 즉 혼잣말은 일종의 결핍을 전제로 한다....
읽히지 않는 시대에 쓰다
뒷담 까일 기자
불안을 마주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