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원인과 전망은

등록일 2023년11월08일 18시05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지난달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상대로 선제공격을 감행했다. 이는 지난 2014년 7월 가자 지구 분쟁 이후 9년만에 벌어진 전쟁으로 지금까지 수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다. 미국과 유 럽연합(EU) 등 서방세력은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의사를 표명한 반면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 및 일부 중동국가들은 하마스에 대한 지지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백승훈 우리학교 중동연구 소 전임연구원을 만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해 알아보자.

 

Q1. 지난 7일 발생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발발 원인 및 배경이 궁금합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은 크게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볼 수 있어요. 첫 번째는 지정학적 변화입니다. 지난 1993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오슬로 협정(Oslo Accords)에서 두 가지 국가 해결법(Two State Solution)에 합의했어요. 이 협약의 골자는 쉽게 말해 팔레스타인의 독립성을 인정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의 트럼프 정권 주도 하에 이뤄진 아브라함 협정(Abraham Accords) 이후 중동 국가의 주도권이 이스라엘로 넘어갔어요. 아브라함 협정은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 경제특구*를 지정함으로써 공동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평화 협정입니다. 이전에 팔레스타인과 하마스를 지지한 중동국가들이 아브라함 협정에 조금씩 참여하자 위기의식을 느낀 팔레스타인과 하마스가 이를 타개하고자 개전한 것으로 보여요. 두 번째는 이스라엘의 안보 공백입니다. 전쟁 발발 전 이스라엘 네타냐후 정권은 독단적인 사법 개혁과 정치적 분열로 인해 많은 국민의 신뢰를 잃었어요. 국가에 반기를 들며 예비군 훈련에 저항하는 상황도 있었죠.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전쟁 초기에 이스라엘이 하마스의 선제 공격을 알아채지 못하는 상황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Q2.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응이 궁금합니다. 

다수의 국가가 이번 전쟁에 대한 의견을 내놓으며 자국을 위한 정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도 자국을 위한 정치를 하며 미국을 비판하고 있는데요. 팔레스타인의 자위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비치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 러시아의 자기 결정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죠. 중국의 경우엔 팔레스타인에 대한 지지의사를 보이며 중동국가에 대한 일종의 견해를 표현했다고 볼 수 있어요. 한편 이번 전쟁에 개입하고 있는 미국에 대한 직접적인 입장은 표명하지 않았습니다. 

 

Q3. 지난 1973년의 ‘제4차 중동전쟁’과 지난 2014년의 ‘가자 지구 분쟁’에 이어 이스라엘-하마스 간의 분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전쟁과는 구분되는 이번 전쟁만의 특수성으로는 무엇이 있나요? 

게 두 가지 지점이 있어요. 우선 전쟁 초기 하마스의 입장에서 이번 전쟁은 가장 크게 성공한 전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중동전쟁의 경우 이스라엘은 1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지만 팔레스타인은 수천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어요. 최근 발생한 전쟁에선 하마스가 승기를 잡는 듯이 보였으나 전쟁이 지속될수록 군사전력상 팔레스타인의 인명 피해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추가적인 참전국은 없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지난 전쟁에선 △시리아△이집트△다른 중동국가의 참전과 금수 조치**가 있었죠. 

 

Q4.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세계적으로 끼칠 영향이 궁금합니다. 

먼저 경제적인 영향력은 없을 것으로 보여요. 이미 시장은 반응했죠. △금△금리△유가 등 여러 분야를 통틀어 전쟁 전후로 급격한 변화를 보인 부문이 없습니다. 이는 국제시장이 이번 전쟁을 큰 변수로 바라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경우엔 천연가스 주도국이 관여된 탓에 당시 세계 시장에 많은 영향력을 끼쳤으나 이번 전쟁 지역인 가자 지구는 경제적으로 중요성을 갖춘 지역은 아니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파급력을 갖진 못할 것으로 보여요. 

 

Q4-1.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중동 지역에 끼칠 영향이 궁금합니다. 

국제정치를 현실정치로 바라봤을 때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이 중동 국가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순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사우디의 경우 아브라함 협정에 확정적으로 참여하기 전에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발발했기에 하나의 주도권을 가졌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미국이 아브라함 협정에 사우디가 참여하길 바라기 때문이죠. 전쟁으로 인해 아브라함 협정 추진이 일시적으로 중단됐지만 결국엔 다시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1995년 오슬로 협정에서 추구한 팔레스타인 독립성 인정을 의미하는 두 국가 해법은 다시 이뤄지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Q5. 지난 27일 국제연합(UN) 본부에서 이스라엘과 하마스에 대한 휴전 촉구 결의안이 채택됐습니다. 하마스는 결의가 즉각 적용되기를 요구한다는 입장을 보인 반면 이스라엘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습 니다. 이처럼 양국이 휴전 촉구 결의안에 상이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이스라엘의 경우 결의안을 받아들이는 것은 자국의 주체성을 포기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어요. 선제공격을 당하고 수천 명의 자국민이 생명을 잃고 가자지구에 대한 영토권마저 빼앗긴 상황이라 이스라엘 국민과 지도부는 결의안을 쉽게 받아들일 수 없을 겁니다. 하마스의 경우 지난 분쟁에 비해 내부 피해도 적고 적국인 이스라엘에 상당한 피해를 줬기에 현 상황에서 전쟁을 마무리하면 자신들의 영향력을 과시하며 결 과적으로 승리를 거둔 것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이죠. 

 

Q6. 사우디는 이번 전쟁에 관해 팔레스타인에 대한 지지의사를 표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은 사우디의 무함마드 빈 살만 알 사우드(Mohammed bin Salman Al Saud) 왕세자를 만나 이번 사태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미국이 사우디를 민감하게 바라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선 미국과 사우디의 공감대 형성입니다. 공통적으로 미국과 사우디는 하마스에 대해 비판하고 있지만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에 대한 긍정적인 의지를 보였죠. 미국이 아브라함 협정에 사우디를 포함시킨 조치는 사우디를 경제협력의 파트너로 포섭하기 위함일 뿐 아니라 사우디가 금수 조치를 할 경우엔 상황이 확전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또한 사우디는 네옴시티(NEOM City) 및 사우디 국가 건설사업에 대한 미국의 투자를 유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Q7. 하마스는 이스라엘의 국민을 인질로 삼는 행위를 벌이며 전쟁 윤리를 위반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이러한 행위를 지속하는 하마스의 의도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먼저 하마스 내부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의도로 보입니다. 역대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분쟁을 되돌아보면 대부분 하마스의 피해가 압도적이었어요. 하마스는 1,4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반면 이스라엘은 14 명이 사상당한 경우도 있습니다. 인질을 포섭한 것은 이스라엘이 하마스를 쉽게 공격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죠. 또한 팔레스타인의 6,000여 명이 이스라엘에 정치범으로 수용돼 있어요. 하마스는 이를 이스라엘이 군사력을 이용해 죄가 없는 국민을 구금한 것으로 보고 있기에 인질 협상을 통해 이러한 정치범을 석방하기 위한 것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행위는 국제법을 위반한 것이기에 정당화될 수는 없습니다. 

 

Q8.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엔 △삼성전자△엘지 (LG)전자△현대자동차 등 국내 대기업 및 중견기업이 다수 진출해 있습니다. 이스라엘-하마스의 전쟁이 앞으로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궁금합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끼칠 경제적인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 추측됩니다. 현지에 파견된 기업의 부서는 대부분 기술협력 및 연구개발(R&D) 부서로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조 부문이 아니에요. 보고서에 따르면 이스라엘 지역의 한국 기업 수출액은 4,000억 원 가량으로 우리나라 경제에 큰 타격을 미칠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경제지표 역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후 유의미한 하락이 없다는 점도 이를 증명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Q9.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향후 전망이 궁금합니다. 

중·장기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선제공격을 당한 이스라엘은 하마스에 대한 정복 의지를 보이고 있어요. 저강도 전술이라 불리는 살라미 전술(Salami Tactics)과 슬라이스 전술(Slicing tactics)을 통해 점진적으로 하마스에 대한 공격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국제법을 준수해 전 세계의 비판적인 시선에서 벗어나기 위함입니다. 전쟁 이후 예상되는 상황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이스라엘이 완전 점령을 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하마스를 대신한 정부를 세우는 것인데 현재 서안지구의 압바스(Abbas) 행정부가 대신하는 것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경제특구 : 외국 자본 유치 등을 위해 법률적 혜택을 준 지역 

**금수조치 : 한 국가가 다른 특정 국가에 대해 거래와 교육 등의 통상을 금지하는 행위 

 

 

권오건 기자 07ogun@hufs.ac.kr 

권오건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추천 0 비추천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기획 심층 국제 사회 학술

포토뉴스 더보기

기부뉴스 더보기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