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쌀쌀해지면 항상 끌리는 장르가 있다. 바로 로맨스다. 여름이 끝나가는 요즘 어김없이 제목에 ‘사랑’이란 단어가 들어간 제목을 고르던 중 ‘사랑’과 ‘최악’ 두 모순적인 단어들의 조합에 매료돼 이를 저절로 재생하게 됐다.
주인공 ‘율리예’(Yulriye)는 충동적이고 즉흥적이며 본인의 감정을 숨김없이 드러내는 인물이다. 작품은 율리에를 중심으로 코믹(Comic) 작가 ‘악셀’(Axel)과 카페 직원 ‘에이빈드’(Abind) 간의 사랑과 정체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의사나 사진작가 등 직업을 바꿔 나가며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 율리에지만 사랑의 감정에선 쉽사리 그렇지 못한다. 나는 초반 율리에의 이러한 행동의 원인으로 자기애 부족을 떠올렸다. 진정 사랑을 하기 위해선 ‘자기애’라는 토대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신을 사랑하지 않고선 사랑을 향한 어떤 노력도 실패할 수 밖에 없다. 자기애란 누군가에게 받고 싶어하는 ‘무조건적인 사랑’을 자기 자신에게 준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평소에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았으면 하고 꿈꿨던 사랑을 자신에게 주는 것이다. 나 자신도 사랑하지 않는 나를 다른 사람이 받아들이고 긍정해주기를 기대하는 것이야말로 어불성설이 아닌가.
‘세상 최악의 인간(The worst person in the world)’ 이란 원제에선 20대 후반 여성의 심리묘사와 함께 새로운 이성에게 본능적으로 끌리는 미묘함을 포착할 수 있다. 하지만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란 우리나라 개봉판 제목을 보면 ‘누구’란 인칭 대명사 덕분에 최악의 사랑의 범인을 찾으려고 했다. 영화 속에서 율리에는 타인과 스스로에게 여러 번 질문을 받는다. ‘너는 뭐 하고 싶은데?’ 혹은 ‘너가 좋아하는 게 뭐야?’와 같은 질문들을 받는 율리에는 ‘모르겠다’라고 답한다. 영화 내내 율리에는 자신의 길에 대한 확신이 없다. 사람에 대해 알고 싶어 의대에 진학하고 사진 찍는 게 좋아 사진도 찍어본다. 하지만 어떤 것에서도 확신을 느끼지 못한다. 늘 새로운 것을 하고 싶어 하지만 그것은 곧 바뀐다. 이런 율리에의 모습을 통해 이 영화는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계속 묻는다.
관객 모두가 율리에가 영화 속에서 하는 결정과 행동을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난 그저 율리에를 꼭 안아주고 싶었다. 마치 나를 보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대학 입시의 재도전으로 인해 1학년 삶을 못 누렸다는 왠지 모르는 억울함과 아쉬움 때문에 이번 1학기를 1년같은 6개월을 보내기로 다짐했다. 이후 내가 여태 해보고 싶었던 △기자△영화 제작△창업 등 여태 관심있던 분야를 경험해봤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이고 나는 무엇이 돼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은 계속 하고 있다. 즉 나도 여전히 명확한 답을 찾지 못했다. 아마도 조금씩 방향을 바꿔나가며 평생 고민하지 않을까.
율리에의 선택이 충동적으로 느껴졌을지도 모르겠지만 그녀가 선택한 길에 으늑히 충실했다. 고민의 선택에 있어서 분명히 실패와 후회의 불안함을 느꼈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고민하는 시간을 줄이고 곧바로 선택하고 경험한다. 율리에도 나도 조금은 과감한 방식으로 방향을 틀어나가지만 결국 많은 경험과 도전으로 쌓아올린 시간들이 모두 자아를 찾기 위한 과정이 아닐까 싶다.
최소윤 기자 09soyoon@hufs.ac.kr